
[충청25시] 홍성군은 충청남도농업기술원에서 개발한 우수 벼 품종인 ‘다품벼’ 와 ‘빠르미2’에 대한 통상실시권을 확보하고 지역 특화 품종 보급과 기후대응형 농업기반 강화에 본격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에 통상실시권을 확보한 ‘다품벼’는 중간찰벼 품종으로 찰기와 밥맛이 우수하며 수량성과 도정률이 뛰어나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고품질 품종이다.
홍성군은 2023년부터 2년간 다품벼의 시험재배를 진행, 지역 환경과의 적합성을 검증해왔으며 올해부터는 본격적인 브랜드화 작업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차별화된 지역 대표 쌀로 육성하고 고부가가치 창출을 도모할 계획이다.
또한 ‘빠르미2’는 극조생종 중간찰벼 품종으로 생육기간이 짧아 이기작과 이모작에 모두 적합하다.
특히 8월 말 조기 수확이 가능해 벼멸구·혹명나방 등 비래해충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기후변화 대응 품종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홍성군은 이번 통상실시권 확보를 통해 두 품종의 안정적인 종자 공급체계를 마련하고 시범재배 확대, 재배기술 교육, 브랜드 개발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통해 지역 농업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홍성군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충남농업기술원이 개발한 우수 품종을 지역 실정에 맞게 도입하고 철저히 검토한 결과, 농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품종으로 확신하고 있다”며 “특히 다품벼는 브랜드화로 농가 소득을 높이고 빠르미2는 친환경·기후 대응형 품종으로 농업의 지속 가능성까지 함께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홍성군은 앞으로도 충남농업기술원 등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품종 다양화와 고품질화에 기반한 미래형 농업 모델 구축에 나설 방침이다.
저작권자 © 충청25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