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25시] 충청남도는 학계·생산자·소비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포함한 먹거리위원회를 출범했으며 농식품의 생산·유통은 물론 소비·건강에까지 전 영역에 걸쳐 충남도민 먹거리 정책을 심의하는 등 충남 먹거리의 중요 변곡점이 될 것이다.
충남도는 5월 2일 도청 회의실에서 충청남도 먹거리위원 13명을 위촉하고 정례 회의를 통해 충남 먹거리보장 기본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공동위원장인 충남대학교 홍승지 교수를 비롯해 열 세 명의 위원들에게 위촉장을 수여하고 제2차 충청남도 먹거리보장 기본계획에 대한 주요 비전과 추진 전략에 대해 논의했으며 “지속가능한 충남 먹거리, 대한민국 먹거리 중심으로”라는 비전 하에 “도민이 함께 만드는 건강한 먹거리 선순환체계 구축”을 목표로 삼고 있다.
계획의 핵심 내용은 도민의 먹거리 안전과 접근성 강화, 지역 농업과의 연계 강화, 먹거리 복지 및 취약계층 지원 확대, 기후위기 대응 및 지속가능한 먹거리 생산·소비 체계 확립 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역특성을 살린 먹거리 생산 안정화 △지역먹거리 스마트 순환체계 구축 △먹거리 안전성 및 접근성 강화 △도민과 함께하는 먹거리 문화 확산 등 4대 전략을 중심으로 추진되며 생산부터 소비와 도민의 건강까지 아우르게 된다.
충청남도 먹거리위원회는 학계, 생산자, 소비자, 현장전문가 및 시민사회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원회의 임기는 2027년 5월 1일까지이다.
이를 통해 도민의 건강과 안전한 먹거리를 보장하고 충남의 먹거리 정책을 실효성 있게 추진하기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충남의 먹거리 정책이 도민의 일상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정책을 자문하고 심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향후 충남의 먹거리 정책을 이끌어갈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충청남도 이정삼 농축산국장은 “먹거리위원회는 충남의 먹거리 정책을 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도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건강한 먹거리 선순환체계 구축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이다”고 말했다.
충남도는 먹거리 안전과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고 먹거리 정책에 대한 연차별 추진계획을 수립해 체계적으로 실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충청25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